#용어 설명
스마트플레이스: 과거 '지도'의 명칭 변경이 된 서비스, 지도 위에 뜨는 업체 목록을 플레이스라고 부른다.
GIF: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이란 뜻으로 동영상 처럼 여러장의 사진을 움직여 짧은 동영상 효과를 주는 형식

(예시 사진) 첫번째 이미지를 GIF로 설정 가능했는데 이젠 불가
플레이스에서 클릭률은 아주 중요합니다. 순위 상승 뿐 아니라 고객을 끌어오기 위한 요소죠 쉽게 말해 흑백 간판 보단 컬러 간판이 눈에 띄는 것과 같습니다.
그래서 발 빠른 광고대행사는 플레이스 대문(첫 이미지)에 GIF 애니메이션을 적용하여 역동적이고 시안성이 유리하게 적용했습니다.
그런데 네이버 스마트 플레이스에서 '10월 30일' 부로 움직이는 GIF향식의 노출을 제한했습니다. 즉, 이젠 업로드가 불가합니다.
단, 기존에 등록한 GIF 파일은 정지 상태로 전환되어 노출되고 있습니다.
사실상 사진과 동일해진 셈이라 과거의 GIF 효과를 볼 수가 없게 되었습니다. 플레이스내에 접속에서 클릭 할 경우엔 움직이는 GIF 효과는 유지됩니다.
직설적으로 말하자면 이러한 정책은 납득하기 어려운 황당한 공지였습니다.
왜냐면 사진은 JPG 확장자를 가졌고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은 GIF 확장자를 가졌으므로 사전에 gif 확장자는 업로드를 불가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와서 갑자기 정책 변경은 하는 이유에 대해선 다음과 같이 추측 됩니다.
1. GIF를 올린 업체가 너무 눈에 띄어 형평성 저하
2. GIF로 인한 시각적인 산만함
만약, 플레이스 6개 업체가 모두 GIF를 적용 할 경우 사용자는 움직이는 사진을 6장 보게 되어 정신없어 보일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이게 조금 더 크게 작용하지 않았을까 싶은데요
아무리 그래도 이미 적용한 업체에 한해서는 유지를 해줘야 하지 않나 싶은데 애초에 허용을 했다는 거 자체가 이런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걸 인터넷 기업인 네이버가 몰랐을 리가 없는데 이해는 되면서도 다소 아쉬운 결정이네요.
#요약
25년 10월 30일 부로 '스마트 플레이스' GIF 애니메이션 업로드 불가 단, 기존 업로드 된 GIF는 정지 된 상태로 노출 별개로 플레이스내에서 클릭 할 경우 GIF는 유지되나 큰 의미는 없음